묻고 답하기

Title
Re:클라우드 비용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Author
담당자
Date
2025-04-14 13:43
Views
20
답변완료

안녕하세요 SaaS전환지원센터입니다. (구:클라우드혁신센터)


클라우드를 1년 정도 사용하시다 보면 예상치 못한 지출이 누적되어 고민이 커질 수 있습니다.

아래 몇 가지 방법이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통합계정 및 모니터링 활용

    여러 팀이 별도 계정과 솔루션을 따로 구독하면, 어디에서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지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한 기업에서 이메일 마케팅 솔루션을 세 곳에서 각각 구독하다가, 사실 한 솔루션만으로 충분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사례가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또는 SaaS 대시보드를 구축하여, 중복 구독이나 불필요한 서비스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자원 할당 자동화

    대부분의 클라우드 서비스에는 Auto Scaling(자동 확장/축소) 기능이 있지만, “설정이 번거롭다”는 이유 등으로 고정된 인스턴스만 사용하여 비용을 더 지출하는 사례가 종종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야간에는 개발 서버나 테스트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데도 계속 켜 두면, 그 시간에도 비용이 발생합니다. 스케줄링 기능을 활용해 새벽 시간대에는 서버를 자동으로 중지하거나 스펙을 낮추도록 설정하면 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작은 설정 변화만으로도 월별 청구서에서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예약 인스턴스·스팟 인스턴스 활용

    장기간 사용하는 서버가 있다면, 예약 인스턴스를 구매하는 편이 일반 온디맨드(On-Demand) 방식보다 경제적입니다. 다만, 예기치 못하게 트래픽이 급증할 경우에는 예약 인스턴스만으로 부족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부분은 온디맨드나 스팟(Spot) 인스턴스를 함께 사용하여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팟 인스턴스는 저렴한 대신, 사용 도중에 회수될 수 있으므로 중요한 서비스보다는 데이터 처리나 배치 작업 등에 적합합니다.


    기술적인 부분 이외에도 관리 및 행정적인 부분에 대한 점검을 권해드립니다.


    1. SaaS 구독 현황 재점검

      회사에서 한때 열심히 사용하다가 현재는 방치된 계정을 유료 플랜으로 계속 두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관리 툴을 50명 규모로 구독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20명 정도만 꾸준히 사용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이 SaaS를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가?”를 점검하고, 필요 없는 계정이나 고가 요금제는 과감하게 해지하거나 다운그레이드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2. 비용 관리 정책 수립

      “부서별로 매월 얼마까지 사용 가능하다”는 식으로 예산 상한선을 정해 두고, 이를 초과하면 알림이 가도록 설정하면 예산 통제가 한결 수월해집니다. 클라우드 제공사의 관리 콘솔이나 외부 CMP(Cloud Management Platform) 도구를 통해 실시간으로 비용을 모니터링하고, 예산 관리 대시보드를 구축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3. 조직적 접근

      비용 절감은 특정 담당자만 노력한다고 쉽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조직 전체가 비용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협업할 때 효과가 큽니다. 예를 들어, 매달 말에 팀별로 클라우드 사용 현황과 비용을 공유하고, “다음 달에는 이 부분에서 얼마를 절감해 보자” 같은 목표를 세워 실천하면 작은 변화가 모여 큰 절감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답변드립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나 더 자세한 안내가 필요하실 경우 언제든지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