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하기

제목
안녕하세요, 클라우드혁신센터입니다.
작성자
master
작성일
2019-02-22 11:02
조회
1013
안녕하십니까? 클라우드혁신센터 담당자입니다.

질의주신 내용에 대하여 답변 드리겠습니다.


1. 클라우드 도입/공급에 관한 컨설팅이 기업이 아닌 개인 형태로도 진행될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도입/공급 컨설팅 제공은 기업과 업무협약체결 후 진행되므로 개인 대상으로는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2. 또한, 이와 관련된 교육 등도 있으면 참고하게 안내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클라우드혁신센터에서 진행하는 교육 프로그램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SW를 개발하고자 하는 개발자 대상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매 분기)과 클라우드 우수 도입 사례 홍보 세미나(연 3회)가 있습니다. 올해 교육 및 세미나 일정은 4월초 확정 예정입니다.
→ 클라우드 기술과 관련된 교육은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과 일정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www.ncloud.com), kt ucloud(ucloudbiz.kt.com)

3.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및 운영 시 주요 내용

ㄱ. 클라우드 사업자(Public Cloud) 이용 시 : (별도의 TFT 구성조직이 아닌 도입/운영 부서에서) 도입 타당성 분석, 설계 등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고려해야하는 지 부분(ex. 구축 가이드/해설서, 참고 템플릿 등)
→ (도입 타당성 분석) 클라우드 도입시 경제성과 도입 효과성을 기본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 경제성 검토 : 클라우드 환경과 On-Premise 운영시 중장기적 관점(5년 이상)의 비용 검토를 통해 경제성을 검토해야 합니다. 이때 클라우드 환경시 발생하는 비용은 최초 클라우드 서비스 전환 비용(1회성, 신규시스템인 경우 제외),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SW 유지보수 비용 등입니다. On-Premise 운영 비용은 인프라 구축비용(또는 교체비용), SW 라이선스 구매비용(일회성), 전산실 운영비용(상면 임대시는 상면 비용), H/W, S/W 유지보수 비용 등을 포함하여 검토하시면 됩니다.
* 효과성 검토 : 전환 또는 도입하고자 하는 시스템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이 효과적인지를 검토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가 예상되는지?, 수요가 특정 기간 또는 시간에 가변적으로 발생하는지? 현재 보안환경보다 더 고도화 된 보안환경이 요구되는지? 사내 시스템을 전담하여 관리하는 정보화 조직 또는 담당자가 있는지? 등이 있습니다.
→ (설계) 고객의 요구하는 보안, 백업/재해복구, 시스템 운영 환경 등을 고려하며, 기 분석하여 도출한 적정 인프라 용량 등을 고려하여 설계합니다.

a. (공통-프로세스) 각 Task 영역별로 어떤 것들을 고민해야하고 분석/설계/계획 등을 수립하여 진행해야하는 지
ex. 요구사항 정의, 적합성 분석 기준, 설계 등에 대한 표준화된 내용
→ (도입 대상 정의) 1. 클라우드를 도입하고자 하는 유형(IaaS, PaaS, SaaS, DaaS 등) 정의, 2. 서비스 요구사항 정의,
→ (분석) 1.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조사, 2. 제공되는 서비스가 기 정의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여부 검토 3. 전환 / 신규 도입 대상 기업 시스템 현황분석, 4. 도입 타당성 분석
→ (설계) 1. 목표모델 도출, 2. 클라우드 서버 용량(CPU, MEM, Internal Disk, Storage) 산출, 3. 이용 서비스 항목 정의, 4. 목표모델 기반 To-Be 설계
→ (계획) 1. 단계별 전환/도입 계획 수립, 2. IT 거버넌스 재정립 3. 이행과제 도출

※ 상기 작성된 내용은 저희가 컨설팅시 적용하는 방법론을 기업에서 자체 검토시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기업 관점으로 정리한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L. 자체 클라우드 이용 시(Private Cloud& Hybrid Cloud) : 기술적인 고려사항과 함께 전환 방안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고려해야하는 지 부분(ex. 운영 가이드/해설서, 참고 템플릿 등)
→ 상기 내용은 벤더사 또는 기술 등 특정 규격에 따라 변동되는 내용으로 클라우드혁신센터에서 답변드리기 부적절한 부분이므로 양해 부탁드립니다.

a. (공통-프로세스) 각 Task 영역별로 어떤 것들을 고민해야하고 분석/설계/계획 등을 수립하여 진행해야하는 지
ex. 요구사항 정의, 적합성 분석 기준, 설계 등에 대한 표준화된 내용
→ 위에 답변 드린 Public Cloud 도입시 공통 프로세스와 유사하며, ‘서비스’ 대신 ‘벤더사 장비와 기술’로 바꾸어 검토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