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전문정보

제목 ESN 기반 클라우드 업무환경 도입 사례 (2)
등록일 2017-09-25 조회수 5122

서정한 ㈜구름연구소 대표



첫 번째 칼럼에서 ESN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개념 및 도입 필요성, 그리고 공급업체 중심의 ESN 기반 클라우드 업무환경 도입 사례를 다루었다면, 이번 칼럼에서는 수요자 입장에서의 도입사례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국내 ESN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사례의 대표 주자는 포스코라고 할 수 있다. 포스코는 기업의 신뢰수준을 글로벌업체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임직원들의 원활한 소통문화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2010년부터 다양한 서비스 도입 및 활동을 지원하였다. 그 일환으로 포스코는 기업용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공급업체인 올웨이즈의 Quik을 도입하여, 포스코 그룹의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피리(PIRI : POSCO In(人, in) Real time Interaction)“를 개설하여 사내 SNS로 활용하였다.

포스코 피리(PIRI)는 단문메시지 서비스인 트위터와 유사한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 빠른 소통 및 정보공유가 장점인 ESN 서비스이다. 따라서 피리는 트위터와 유사하게 동료맺기 등을 통해 동료로 등록된 직원에게 실시간으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피리는 웹페이지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에서도 접속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어 PC나 스마트기기를 이용해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며, 타임라인(timeline)이라는 메시지 보기 화면을 통해
동료들이 전송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피리는 댓글(Reply) 기능도 제공하고 있어 임직원 간의 상호간 소통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메시지 작성 시 지도 또는 이미지 등을 첨부하거나 설문조사를 손쉽게 삽입할 수 있어 다양한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 가능하다.

피리 서비스의 도입으로 포스코 내부 임직원들 간 원활한 의사소통 및 정보공유가 가능해졌으며, 다양한 문제를 다각적이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동료맺기 등을 통해 사내 신규 인맥 네트워크 형성과 같이 시간과 공간을 넘어 임직원 간의 자유로운 소통이 활성화되었다.




한편, LG전자에서는 자유로운 정보공유 및 사내 소통을 위하여 2008년에 기업소셜네트워크인 야머(Yammer)를 도입하였다. LG전자가 도입한 야머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도메인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룰 자동으로 검색해주고, 연결해준다. 즉, 기업 이메일 도메인 사용자에 한하여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특정 조직원들 간의 소통에 대한 기밀성을 보장해주는 기업소셜네트워크라 할 수 있다.

LG전자는 야머를 사내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직원들의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의견을 교환하는 통로로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LG전자에서 야머는 비즈니스를 하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또한, LG전자는 사내 교육과정 운영 시에도 야머를 활용하고 있어 교육수강생들이 교육내용에 대하여 스스로 질의응답을 수행하는 등 실시간으로 교육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LG전자의
국내외 임직원 간 정보 공유 및 소통이 확대되었으며, 기업 내 정보가 수평적으로 공유되어 구성원들이 중심이 되는 소통 채널을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LG CNS는 단문메시지 서비스인 트위터의 영향력 파악과 LG CNS의 모바일, SNS 사업 방향 및 영향력 파악을 위해 2010년 07월 사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인 비즈트윗을 구축하였다. 비즈트윗은 2011년 트윗톡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LG CNS 사내포털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즉, 트윗톡은 트위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기본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 사내포털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업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이다. 트윗톡은
화면구성이나 제공 서비스가 트위터와 유사하다. 트위터와 마찬가지로 트윗톡에서 사내 직원을 팔로잉하면 그 사람의 메시지를 볼 수 있다. 메시지를 따로 묶어서 볼 때는 트위터처럼 '리스트(list)'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트윗톡과 사내포털을 연동하면 사내포털 내 개인페이지 상에서도 트윗톡의 타임라인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내 블로그 및 게시판과도 연동되어 자유로운 정보공유가 가능하다.

LG CNS는 트윗톡을 제품개발 및 각종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아이디어 수렴 창구로 활용하고 있으며, 임직원 대상 의견조사, 세미나 정보전달 등에도 사용하고 있다. 또한, LG CNS 임직원 간 즉석 카풀이나 점심, 저녁 모임 제안 등 자유로운 소통도 가능하게 되었다.


- 포스코 LG전자 LG CNS
도입배경
  • 원활한 소통문화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2010년부터 다양한 서비스 도입 및 활동을 지원
  • 사내 구성원이 주도적으로 일하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수평적 의사소통 필요
  • 수평적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
  • 자유로운 정보공유 및 사내 소통을 위한 툴 필요
서비스명
  • 피리(PIRI)
  • 야머(Yammer)
  • 비즈트윗(트윗톡)
주요특징
  • 트위터와 유사한 형태로 빠른 소통 및 정보공유가 장점인 ESN 서비스
  • 동일한 도메인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를 자동으로 검색해주고, 연결 (특정 조직원들 간의 소통에 대한 기밀성 보장)
  • 트윗톡은 트위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기본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 사내포털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업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효과
  • 임직원들 간 원활한 의사소통 및 정보 공유 가능
  • 다각적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
  • 사내 신규 인맥 네트워크 형성 가능
  • 시간‧장소의 제약없는 임직원 간의 자유로운 소통 활성화
  • 국내외 LG전자 임직원 간 정보 공유 및 소통이 확대
  • 기업 내 정보가 수평적으로 공유됨
  • 구성원들이 중심이 되는 소통 채널을 형성할 수 있게 됨
  • 제품개발 및 각종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아이디어 수렴 창구로 활용
  • 임직원 대상 의견조사, 세미나 정보전달 등에 활용
  • 카풀, 모임 제안 등 자유로운 의사소통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