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전문정보
|
블록체인 표준화 동향
최영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 블록체인 기술과 관련된 표준화는 2017년부터 본격화되었으며, 국제적으로 ISO에 새로운 TC가 설립되었고, ITU-T도 분산 디지털 원장에 관련된 포커스그룹이 신설되었다. 또한, 사실 표준화 기구인 W3C에서는 커뮤니티 그룹을 통하여 유즈케이스를...
|
|
국내·외 PaaS 도입 사례
㈜구름연구소 대표 서정한 본 칼럼에서는 클라우드 플랫폼(PaaS: Platform as a Service) PaaS 도입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클라우드를 처음 접했을 때 PaaS의 개념은 좀처럼 쉽게 와 닿지 않았다. 아마 컴퓨터 공학을 전문적으로...
|
|
미래 예측을 위한 ITOA 인공지능 기술
박병훈 T3Q 대표 이미 오래전부터 고급 자동차에 크루즈 콘트롤이라는 장치가 있어서 엑셀레이터를 조작하지 않아도 차가 스스로 주행을 하는 기술이 있었는데 최근에 화두가 되는 무인자동차도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할...
|
|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의 법적 쟁점과 개선과제(Ⅱ) - 개인정보 국외이전을 중심으로 -
강철하 한국IT법학연구소장(법학박사) 본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추후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의 법적 쟁점과 개선과제’를 주제로 시리즈 형식으로 게재할 예정임 분산처리기술(distributed data processing technology)과 가상화기술(virtualization technology)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컴퓨팅(cloud computing) 환경에서는...
|
|
클라우드 서비스와 정보보호 인증
이창범(miso4all@naver.com) 1. 정보보호 인증제도의 의의 클라우드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많은 기업, 기관, 단체 및 개인의 데이터를 취급하기 때문에 어느 분야보다 정보보안이 중요하다. 그러나 「클라우드컴퓨팅법」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의 품질·성능에 관한 기준 및...
|
|
ESN 기반 클라우드 업무환경 도입 사례 (2)
서정한 ㈜구름연구소 대표 첫 번째 칼럼에서 ESN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개념 및 도입 필요성, 그리고 공급업체 중심의 ESN 기반 클라우드 업무환경 도입 사례를 다루었다면, 이번 칼럼에서는 수요자 입장에서의 도입사례에...
|
|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의 Enabler, CSB(Cloud Service Brokerage)
민영기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 사무국장 클라우드 서비스가 고도화되고 다양화 되면서 그 복잡성 또한 증가되는 가운데 이용자 편의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CSB(Cloud Service Brokerage)가 등장하고 급성장 중에 있다. 동 브리프에서는 이러한 CSB의 태동과 개념,...
|
|
국내외 SECaaS 서비스 동향 조사
고갑승 한국IT평가원 연구소장 개요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터넷에 연결된 가상화된 서버 자원을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네트워크 및 콘텐츠 사용 등 IT 관련 서비스를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
|
안전성 확보 조치 의무와 클라우드 사업자의 법적 책임
이창범 동국대학교 교수 1. 안전성 확보 조치 의무의 주요 내용 기업, 병원, 은행, 학교 등이 보유하고 있는 각종 물적 재산은 분실, 도난, 파괴, 훼손 등이 되더라도 그 피해가 해당 조직...
|
|
데이터센터의 퍼블릭 클라우드 전환
최지웅 오픈소스컨설팅 이사 엔터프라이즈 기업의 데이터센터가 변화하고 있다. 유닉스 기반의 경직된 시스템 환경에서 스케일 아웃을 통한 확장성 있는 인프라로의 변화를 위하여 많은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센터(SDDC:Software Defined Data Center)를 외치고...
|

